티스토리 뷰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다보니 migrate 때문에 에러가 잦다.
주로 사용하던 컴퓨터가 git 에러가 계속 발생하여 컴퓨터를 옮겼다.
(댓글에 의하면 컴퓨터 상의 에러일 수도 있다고 한다. 새로 깔아야할까)
그런데 .gitignore 파일이 계속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migration file이 push된다.
git이 참 말썽이다.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하는데, migration 파일이 pull 되는 바람에 원래 것들과 충돌을 일으켰다.
나는 짜증이 나서,
Migration 파일을 지워버렸다 - dependency error
step1은 db에 아무것도 없을 때, 그냥 db 자체를 밀어버리는(flush)하는 것이다.
sg(설문G)는 처음 적용하는 것이라 db가 없으니 그냥 밀어도 되지만,
이미 만든 앱 같은 경우는 db가 차있으니 step2를 꼭 이용해라.
나는 다른 앱의 모델끼리 dependency가 존재한다.
A라는 모델이 B를 foreignkey로 가지고 있다.
그래서 B의 migration file을 정리할 때, A까지 같이 해줘야 한다.
그러면 일단 dependency 문제 해결.
models.py의 fields가 sql에 제대로 적용되지 않았다.
오류 내용은 OperationalError: (1054, "Unknown column '(app_name).(field_name)' in 'field list'")
옛날 버전에서는 syncdb를 하면 된다는 글이 있다.(syncdb는 이제 없는 명령어이다.)
manage.py dbshell로 mysql에 접속해본다.
DESCRIBE (app name)_(model name);
됐다.
나는 잘 됐다.
그럼 이만.
------------------------------------------------------------------------------------------------------
migration / sql 관련 에러 모음
참고로 예전에 migrate를 했는데도 table이 생성되지 않은 적이 있다.
예전 글 참고. -> 해결책은 --fake zero였다.
또 migrate 관련 에러로, model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에러가 발생한 적이 있다.
model과 view의 import 관계가 얽혀서 그렇게 된 것이었다.
sql 관련 에러로는 character type 설정 문제가 있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matrix factorization
- pythonpython
- IBCF
- 협업필터링
- python3.8
- MBCF
- buffalo
- javascrip
- matrix market
- 서버환경
- KAKAO
- gensim
- Python
- django
- memory-based
- n core setting
- 추천
- WSL2
- 아이템기반
- django3
- django mysql database sqlite
- item-based
- MachineLearning #KMenas #KoNLPy #Word2Vec #AI #ML #인공지능 #Unsupervised #Clustering #Classification
- pytorch
- Collaborative Filtering
- queryset
- 메모리기반
- windows subsystem for lunux
- ifkakao
- Supervised Learning #KoNLPy #Keras #NLP #자연어처리 #글 분류 #LST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